간행물
한국 화학공학의 과제 - 2003 보고서-
목 차
| 제1장 한국 화학공학 교육의 과제 | |
| 제1절 화학공학의 범위 | 3 |
| 제2절 화학공학의 발전 | 4 |
| 1. 외국의 화학공학 교육 | 4 |
| 2. 한국의 화학공학 교육 | 6 |
| 제3절 교육환경의 변화 | 8 |
| 1. 산업 환경 | 8 |
| 2. 대학 환경 | 9 |
| 제4절 이공계 기피 현상 | 11 |
| 1. 현황 | 11 |
| 2. 원인 | 12 |
| 3. 수급 불균형과 그 대책 | 12 |
| 4. 정부의 역할 | 14 |
| 제5절 미래의 화학공학 교육 | 16 |
| 1. 화학공학의 핵심 지식 | 16 |
| 2. 미래화학공학의 교육 내용 | 17 |
| 3. 대학의 노력 | 18 |
| 제2장 국가 산업에 있어서의 한국 화학공학의 과제 | |
| 제1절 머리말 | 25 |
| 제2절 한국 화학산업 환경분석 및 시사점 | 27 |
| 1. 석유화학 산업 | 27 |
| 가. 국내외 환경 분석 | |
| 나. 선진업계 동향 | |
| 다. 시사점 | |
| 2. 정밀화학 산업 | 34 |
| 가. 국내외 환경 분석 | |
| 나. 선진업계의 동향 | |
| 다. 시사점 | |
| 제3절 국내 화학산업의 발전 전략 | 39 |
| 1. 화학산업의 기술 변화 | 39 |
| 2. 석유화학 산업 | 42 |
| 3. 신소재 산업 | 44 |
| 4. 생명과학 산업 | 46 |
| 5. 환경 산업 | 49 |
| 제4절 맺음말 | 50 |
| 제3장 R&D 분야에서의 한국 화학공학의 과제 | |
| 제1절 NT 분야에서의 화학공학의 과제 | 53 |
| 1. 머리말 | 53 |
| 가. 나노기술의 개요 | |
| 나. 디바이스의 소형화 -시스템온칩의 개념 | |
| 2. 초미세화학공정 | 57 |
| 가. 초미세화학공정의 개요 | |
| 1) 화학공학적 접근 | |
| 2) 생명공학적 접근 | |
| 나. 초미세화학공정의 특성 및 현황 | |
| 1) 기상용 불균일 촉매 반응기 | |
| 2) 충진층 반응기 | |
| 3) 액상반응기 | |
| 다. 화학공학과의 연계 | |
| 라. 발전방향 및 전망 | |
| 3. 나노패터닝 화학공정 | 64 |
| 가. 나노증착 및 나노에칭 | |
| 1) Atomic layer deposition(ALD) | |
| 2) Atomic layer etching(ALE) | |
| 나. 비노광 나노 리소그라피 | |
| 다. 나노 템플레이트 | |
| 라. 솔젤 공정 | |
| 4. 나노입자, 나노튜브, 나노소재 | 77 |
| 가. 액상 반응 나노입자 | |
| 나. 기상 반응 나노입자 | |
| 다. 탄소 나노튜브 | |
| 라. 콜로이드 공정 | |
| 마. 메조포러스 물질, 나노복합재료 | |
| 5. 맺음말 | 97 |
| 참고문헌 | |
| 제2절 BT 분야에서의 화학공학의 과제 | 100 |
| 1. 머리말 | 100 |
| 가. BT 기술의 개요 | |
| 나. BT 기술의 발전현황 및 당면과제 | |
| 다. 화학공학의 역할 | |
| 2. 생물공정공학 | 104 |
| 가. 미생물 발효/배양 및 재조합 단백질 생산기술 | |
| 1) 일반 및 개요 | |
| 2) 특성 및 현황 | |
| 3) 화학공학과의 연계 | |
| 4) 발전방향 예측 및 전망 | |
| 나. 생물 분리기술 | |
| 1) 일반 및 개요 | |
| 2) 특성 및 현황 | |
| 3) 화학공학과의 연계 | |
| 4) 발전방향 예측 및 전망 | |
| 3. 효소공학 | 115 |
| 가. 일반 및 개요 | |
| 나. 특성 및 현황 | |
| 다. 화학공학과의 연계 | |
| 라. 발전방향 예측 및 전망 | |
| 4. 생물전자소자 | 124 |
| 가. 일반 및 개요 | |
| 나. 특성 및 현황 | |
| 1) 바이오 센서 | |
| 2) 바이오 메모리 소자 | |
| 3) 단백질을 이용한 시각소자 | |
| 4) DNA칩 | |
| 5) 뉴로칩 | |
| 6) 단백질칩 | |
| 다. 발전방향 예측 및 전망 | |
| 5. 대사공학 | 136 |
| 가. 세부기술 일반 및 개요 | |
| 나. 기술개발 현황 | |
| 1) 국외 | |
| 2) 국내 | |
| 다. 화학공학과의 연계 | |
| 6. 세포공학 | 139 |
| 가. 동물세포배양기술 | |
| 1) 일반 및 개요 | |
| 2) 특성 및 현황 | |
| 3) 화학공학과의 연계 | |
| 4) 발전방향 예측 및 전망 | |
| 나. 조직공학 | |
| 1) 조직공학 개요 | |
| 2) 조직공학 기술의 기본요소 | |
| 3) 조직공학 연구현황 | |
| 4) 화학공학과의 연계 | |
| 5) 발전방향 예측 및 전망 | |
| 다. 식물세포 | |
| 1) 일반 및 개요 | |
| 2) 특성 및 현황 | |
| 3) 화학공학과의 연계 | |
| 4) 발전방향 예측 및 전망 | |
| 7. 환경생물공학의 현황 및 전망 | 166 |
| 가. 기술 개요 | |
| 나. 기술 개발 및 현황 | |
| 1) 생물학적 환경 처리 기술 | |
| 2) 환경 바이오 모니터링 기술 | |
| 다. 화학공학의 역할 | |
| 8. 맺음말 | 175 |
| 참고문헌 | |
| 제3절 IT 분야에서의 화학공학의 과제 | 179 |
| 1. 머리말 | 179 |
| 가. IT 분야와 화학기술의 당면 과제 | |
| 나. 정보기술의 발전 현황 | |
| 2. 전자소자 | 189 |
| 가. 머리말 | |
| 나. 고유전체 물질과 공정 | |
| 다. 강유전체 물질 및 공정 | |
| 라. 저유전체 물질 및 공정 | |
| 1) 기상 화학증착법 | |
| 2) 습식법 | |
| 마. 구리 배선과 관련된 재료 및 공정 | |
| 3. 광전자 소자 | 203 |
| 가. 세부기술 일반 및 개요 | |
| 나. 기술개발 현황 및 특성 | |
| 다. 화학공학과의 연계 | |
| 라. 발전방향 예측 및 전망 | |
| 4. 디스플레이, 플라스틱 전자소자, 분자소자 | 211 |
| 가. 개요 | |
| 나. 현황 | |
| 1) TFT-LCD | |
| 2) 유기 EL 및 유기 반도체 | |
| 다. 향후 전망 및 화학공학의 역할 | |
| 5. 맺음말 | 223 |
| 참고문헌 | |
| 제4절 에너지/환경(ET) 분야에서의 화학공학의 과제 | 225 |
| 1. 머리말 | 225 |
| 가. 에너지/환경 문제의 중요성 | |
| 나. 에너지/환경기술과 화학공학 | |
| 2. 수소에너지 | 228 |
| 가. 세부기술 일반 및 개요 | |
| 나. 기술개발 현황 | |
| 다. 화학공학과의 연계 | |
| 라. 발전방향 예측 및 전망 | |
| 3. 연료전지 | 237 |
| 가. 기술 개요 | |
| 1) 막반응기로서의 연료전지 | |
| 2) 구성요소 | |
| 3) 연료전지 구분 및 종류별 특징 | |
| 나.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| |
| 1) 고정발전용 연료전지 | |
| 2) 휴대용 연료전지 | |
| 3) 자동차용 연료전지 | |
| 다. 화학공학의 역할 | |
| 4. 전지 | 248 |
| 가. 개요 | |
| 나. 기술특성 및 개발현황 | |
| 1) 리튬2차전지 | |
| 2) 초고용량 캐패시터 | |
| 다. 화학공학과의 연계 | |
| 1) 전지제조공정 분야 | |
| 2) 전지소재분야 | |
| 3) 폐전지 처리 분야 | |
| 라. 발전방향 예측 및 전망 | |
| 1) 리튬2차전지 | |
| 2) 초고용량 캐패시터 | |
| 3) 폐전지의 재활용 처리기술 | |
| 5. 수질 및 토양 | 258 |
| 가. 일반 및 개요 | |
| 나. 특성 및 현황 | |
| 다. 화학공학과의 연계 | |
| 라. 발전방향 및 전망 | |
| 6. 청정기술 | 266 |
| 가. 일반 및 개요 | |
| 나. 특성 및 현황 | |
| 다. 화학공학과의 연계 | |
| 라. 발전방향 예측 및 전망 | |
| 7. 대기/지구환경 | 274 |
| 가. 현황 | |
| 1) 서론 | |
| 2) 대기환경 | |
| 3) 지구환경 | |
| 나. 정책적 대응 | |
| 1) 대기환경 | |
| 2) 지구환경 | |
| 다. 기술적 대응 | |
| 라. 요약 | |
| 참고문헌 | |
| 제4장 국가과학기술 정책에서의 한국 화학공학의 과제 | |
| 제1절 국가연구개발정책의 개관 | 291 |
| 1. 정부연구개발 투자 현황 | 291 |
| 가. 연도별 정부연구개발 투자 현황 | |
| 나. 주요 부처별 투자 현황 | |
| 다. 연구개발 단계별 투자 현황 | |
| 라. 연구수행 주체별 투자 현황 | |
| 마. 기술분야별 사업목적 투자분포 | |
| 바. 종합분석 및 시사점 | |
| 2. 국내 연구자원 현황 | 296 |
| 가. 연구인력 현황 | |
| 1) 총괄 연구인력 현황 | |
| 2) 여성 연구개발인력 양성·활용 현황 | |
| 3) 이공계 인력공급의 위기 현황 및 주요 원인 | |
| 나. 연구소 현황 | |
| 1) 기업부설 연구소 현황 | |
| 2) 정부 출연기관 현황 | |
| 3) 종합분석 및 시사점 | |
| 3. 국가연구개발사업 현황 | 302 |
| 가. 2001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| |
| 1) 부처별 사업목적 투자 현황 | |
| 2) 부처별 연구수행주체 투자 현황 | |
| 3) 부처별 연구개발단계 투자 현황 | |
| 4) 부처별 기술분야 투자 현황 | |
| 5) 기술분야별 총괄 투자 현황 | |
| 6) 종합분석 및 시사점 | |
| 4. 과학기술 기본계획 | 308 |
| 가. 미래유망 신기술의 선택적 집중 개발 | |
| 나. 전통 주력산업의 신기술 접목과 핵심기술 개발 | |
| 5. 국가기술지도 | 310 |
| 6. 과학기술부 주관 특정연구개발사업 현황 | 310 |
| 가. 창의적 연구진흥사업 | |
| 나.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 | |
| 다. 국가지정연구실사업 | |
| 제2절 국내 화학공학 산업 및 관련 산업의 연구개발 현황 | 315 |
| 1. 정밀화학 산업의 연구개발 현황 | 315 |
| 2. 석유화학 산업의 연구개발 현황 | 317 |
| 3. 고분자 산업의 연구개발 현황 | 318 |
| 4. 에너지 산업의 연구개발 현황 | 319 |
| 5. 관련 산업의 연구개발 현황 | 321 |
| 가. 생물 산업의 연구개발 현황 | |
| 나. 반도체 및 소재 산업의 연구개발 현황 | |
| 다. 환경 산업의 연구개발 현황 | |
| 라. 종합 분석 및 시사점 | |
| 참고자료 | |